본문 바로가기

01 「건축을 뒤바꾼 100가지 아이디어」

010 Arch. 아치. 돔과 볼트를 이루는 기본 단위

010 Arch. 아치. 돔과 볼트를 이루는 기본 단위

 

Intro

이유는 명확치 않으나 실용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들만이 아치를 사용하거나 창고 또는 배수로 등 지하시설을 만드는 경우에만 주로 아치를 사용하였다.

 

Summary

1. 아치를 사용하면 공간을 가로지를 수도 있고 석조 벽에 개구부를 낼 수도 있다.

2. 그 자체로 위에서 누르는 힘을 잘 버틸 수 있는 온전한 구조다. (돌, 벽돌로 만들기에 더 없이 이상적인 구조)

3. 아치가 지닌 건축적 잠재력을 발견한 로마인

   → 다리, 송수교, 육교에 도입 → 로마제국의 영토확장

4. Arch → Vault → Pointed Arch → Buttress

   아치로는 정방형 교차 볼트만 가능하고. 포인티는 아치는 아치의 높이와 폭이 자유롭기에 직사각형 공간에도 볼트를 둘 수 있었다.

5. 근대건축에서는 아치를 널지 사용하지 않았다.

- 압축과 인장에 강한 강철, 철근 콘크리트 같은 재료들이 사용되었기에

- 아치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임시 구조물이 너무 비쌌기에

- 아치 자체가 근대적으로 보이지 않았기에

 

Review

1. 아치. Arch. 한국말로 홍예. 라고 한다. 국어사전에 따르면 홍예는 무지개를 일컫기도 하는데, 홍예문은 그 의미를 따라 "문의 윗부분을 무지개 모양으로 반원형이 되게 만든 문"이라는 뜻이다. 중학생때였는지, 국어사전에서 내 이름과 비슷과 홍예문을 발견하고 한참 웃었던 기억이 있다. 그 기억을 여기서 꺼내게 되다니 ㅎㅎ

 

2. 아치하면 연상되는 것은, 다리를 받치는 구조물과, 유럽의 성당을 들어설 때 만나게 되는 문.

 

(기둥과 보 / 아치 / 포인티드 아치. 출처 : http://pixabay.com/ko/%EC%95%84%EC%B9%98-%EC%9C%A0%ED%98%95-%EC%97%AD%EC%82%AC%EC%A0%81%EC%9D%B8-%EB%A1%9C%EB%A7%88-%EA%B1%B4%EC%B6%95%EB%AC%BC-32730/)

 

3.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공간과 아치(볼트)로 이루어진 공간. 각각이 주는 느낌과 분위기의 차이는 분명하다.

 시대 순으로 본다면, 기둥과 보 그 다음에 아치가 나온 것인데. 지금은 다시 기둥과 보의 시대이다. 그것이 더 근대적. 현대적이라고 생각한다. 아니다. 요즘은 기둥과 보 마저도 파괴된 것이 더 현대적이라고 본다. 해체주의.

 

4. 로마가 강대국이었을 때, 그 나라가 잘 쓰던 건축 수법이었기에.

   이제는 로마시대가 아니야. 그러니까 그들이 쓰던 방법 말고. 새로운 것이 필요해

   라는 식의 사고과정도 한 몫 했을 것이다.

 

(퐁 뒤 가르 수도교. 프랑스 님. 기원전 1세기 후반. 로마 시대 때 지어졌다. 55m 높이에 274m의 길이

출처 : http://blog.daum.net/351019/11031)

 

* 3일 쉬고 쓰려니 왜 이렇게 글 하나 정리하기가 힘든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