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건축을 뒤바꾼 100가지 아이디어」 (19) 썸네일형 리스트형 031 COMPOSITION. 구성. 배열의 예술 031 COMPOSITION. 구성. 배열의 예술 Intro.'구성'이라는 용어는 '모아 만들다'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한다. 01. '구성'이라는 말은 다른 시각 예술이나 음악에서 더 널리 사용되는 탓에, 주로 건축을 예술의 다른 형태와 결합하는 데 열심인 저술가나 전문직 종사자들이 즐겨 썼다. 반면에 건축을 기계나 자연 유기체에 유추하여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를 건축 조직이라고 말하기를 더 좋아했다. 02. 르 코르뷔제는 학생들에게 '건축은 조직이다. 당신들은 조직하는 이들이다. 제도판을 붙들고 있는 예술가가 아니다'라고 충고했다. 03. 반면에 루이스 칸은 건축가는 디자이너가 아니라 구성가라고 말한 바 있다. 018 HUMANISM 인본주의. 인간은 만물의 척도다 018 HUMANISM 인본주의. 인간은 만물의 척도다 INTRO 건축에서 인본주의는 신체 치수의 비례에 기반해서 건물을 만들게 하였고,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적 형태에 대한 새로운 기초를 가지게 하였다. (이 성당은 르네상스 인본주의자들이 고대 로마문화와 이상적인 기하학에 매료되어 있었음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 Donato Bramante의 San Pietro in Montorio 출처 : http://artaddictsanonymous.tumblr.com/post/80724857175/donato-bramante-tempietto-church-of-san-pietro) SUMMARY 1.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중심이 되는 사상에는 인간의 지적이고 문화적인 성취의 절정인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찾을 .. 017. Basilica. 바실리카. 모든 목적에 쓰인 '크고 넓은 방' 017. Basilica. 바실리카. 모든 목적에 쓰인 '크고 넓은 방' Intro 바실리카*는 로마제국에서 널리 친숙하게 사용된 정치 권력의 중심이자 사람들이 모이는 공공의 장소였다. 주로 법정, 비상 훈련장, 집회소로 쓰였다. * 바실리카라는 명칭도 '왕족의'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나온 것.(참조 월간미술) Summary 1. 로마의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313년에 그리스도교로 개종하자마자 예배할 수 있는 장소를 새롭게 만들자는 대규모 건물 계획을 시작했다. (Basilica Plan of Maxentius and Constantine 출처 : http://quod.lib.umich.edu/h/hiaaic/x-bf157ce/*) 2. 그 때까지 그리스도인들은 개인 주택에서 비밀리에 모였기 때문에, 목적.. 016. Platform. 단. 들어 올린 건물 016. Platform. 단. 들어 올린 건물 Intro 단 위에 건물을 둔 이유는 다양했으며 근대에 와서는 부차적인 공간과 서비스 시설을 마련하기 위해 건물에 단을 자주 사용했다. Summary 1. 실제로 흙으로 만든 단은 방어 체계의 한 부분이며 건물을 들어 올리는 역할도 했다. 특히 단은 약한 목조 건축에서는 습기와 홍수를 피해 위로 들어 올렸다. 2. 단 위에 있으면 건물은 상징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이런 이유로 종교 건축물이나 죽은 자를 안치하는 장소를 단 위에 두는 경우가 많았다. (Parthenon. 파르테논은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큰 암석을 단으로 삼고 그 위에 세워졌다고도 할 수 있다. 출처 : http://aaeblog.com/2013/06/02/pericles-buil.. 015. Atrium. 아트리움. 외부인 내부, 내부인 외부 015. Atrium. 아트리움. 외부인 내부, 내부인 외부 Intro 도무스(Domus)*로 알려진 아트리움은 고대 로마의 주택 유형 중앙에 있는 트인 중정을 가리키는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지금은 일반적으로 건물 안에 둔 유리로 덮은 공간을 가리킨다. *도무스(Domus) : 로마제국시대 때 상류층. 부유층이 살던 주택의 유형이다. 로마가 점령했던 주요 도시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출처 : http://commons.wikimedia.org/wiki/File:Domus_romana.png) (A late 19th-century artist's reimagining of an atrium in a Pompeian domus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Domus#/m.. 014 Courtyard. 중정. 방을 둘러 만든 사적인 외부 공간 014 Courtyard. 중정. 방을 둘러 만든 사적인 외부 공간 Intro 가장 초기에 지어진 주택 중 대다수는 방 한가운데 화로(fireplace)를 놓고 연기를 뺄 수 있게 지붕에 구멍을 낸 단칸방 구조였다. 이는 이후 계속 나타나는 한 공간의 유형을 형성하는 큰 계기가 되었다. Summary 1. 고대 로마 주택들은 단층에다가 길에 면한 테라스에는 창문을 내지 않았다. 그래서 주택 중앙에 있는 아트리움은 빛과 공기를 끌어들이는 주요 원천이었다. 2. 큰 규모의 집들은 중정 주변에 열주랑(Colonnade)을 두어 중정의 2차 형태를 만들었다. (Palazzo Medici Courtyard. 출처 : http://inzumi.com/en/travel/point-of-interest/d_id/Flo.. 013 Arcade. 아케이드. 율동감이 흐르는 아치의 통로 013 Arcade. 아케이드. 율동감이 흐르는 아치의 통로 Intro 아케이드는 건축에서 각기 뚜렷하지만 서로 연관되어 있는 세 가지 요소를 보여준다. 아치(Arch), 복도(Aisle), 유리(Glass) Summary 1. 고대 로마인들은 큰 벽을 만들기 위해서도 아케이드를 이용했다. 콜로세움은 그 예로, 1-3층은 모두 아케이드로 만든 개구부로 연결되어 있고 구조 전체에 안정감을 주기 위해 맨 위층은 아래 세 층과 대조적으로 개구부없이 육중하게 계획했다. 2. 지붕을 덮은 복도로 아케이드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고대 로마시대 때부터다. 중세 시대 수도원 역시 안뜰은 아케이드로 둘러싸여 있다. 3. 우리가 보통 쇼핑하는 장소로 알고 있는 유리 천장으로 덮은 아케이드는 19세기에 비로소 나타난다. 캐.. 012 Dome. 돔. 지붕으로 고귀함의 원형을 짓다. 012 Dome. 돔. 지붕으로 고귀함의 원형을 짓다. Intro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통치 중이던 기원 후 2세기 때 지어진 판테온(Pantheon)은 그 돔의 폭이 4.3m로 가장 컸다. Santa Maria del Fiore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1496년 브루넬레스키가 지은 가장 큰 돔을 가진 성당이 되었다. (판테온 내부. 출처 : http://niceblack.tistory.com/4) (판테온 단면. 출처 : http://florencedome.com/1/post/2011/05/about-domes.html)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의 돔. 출처 : http://technology-planet.com/reinventing-architecture-the-mass-of-brunelleschi...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