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4 Architecture, Object, Urban Idea

1+1=NEW: Well-Serviced Environment

[본 글은 2019 SDW에 제출했던 제안서입니다.]

주제: 1+1=NEW.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담을 새로운 공간 제안

지금껏 우리 건축가들은 건축물을 설계할 때 주어진 용도의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물리적인 환경을 디자인해왔으며 그 프로그램을 위한 최적의 공간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고민하고 집중해왔다. 그러나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공간의 개념은 그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다양하다. 예를 들면, 과거 건축가들은 하나의 프로그램을 담는 공간을 디자인했다면, 현재 건축가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담을 새로운 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 이제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위한 물리적인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그 공간에 담길 사람들의 다양한 문화의 코드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경험하도록 재구성해야 하며 진정으로 살아있는 공간이 되고 지속 가능한 생명력을 가지도록 고민해야 한다. 이에 따라 현대 사회가 건축가에게 요구하는 새로운 공간의 개념을 고민해보고 본인이 생각하는 공간의 분석을 통해 아래의 논리 전개방법에 의거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공간의 아이디어를 도출해보자.
Analyze

종전의 건축계획은 주어진 프로그램에 따라 실의 규모와 용도가 한정지어졌다. 이를테면 공연장의 경우, 좌석 수에 따라서 대규모, 중규모, 소규모로 확정되어 아예 성격이 다른 프로그램으로 바뀌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었다. 또한 공연장 안에서도 무대를 비추는 조명과 같은 전기설비와 객석에 사용되는 설비에는 차이가 있고 이에 따라 하나의 공간이지만 처음부터 다른 서비스 시스템을 갖게 된다. 이것을 모두 고려하여 공연장을 설계하기 때문에 설계 후의 공간을 서비스하는 기술적 요소와 설비공간들이 필수적으로 뒤따른다. 원래의 프로그램을 바꾸어 다른 용도의 공간으로 사용하기에, 또는 한 평면 안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하려고 할 때 , 가장 걸림돌이 되는 것은 다름 아닌 설비시설일 수 있다.

 

스타벅스에서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앉기 원하는 자리는 (누구와 함께 오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콘센트가 있는 좌석이라는 사실에 대부분 수긍할 것이다. 현대인의 필수품인 휴대용 전자기기(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등)을 충전하며 오히려 음료를 마시는 것이 부가적인 활동이 된 것은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니다. 적나라하게 표현하면, 전기를 공급해줄 수 있는 쾌적한 공간과 장소에서 음료 값을 지불하는 주객전도의 상황이 펼쳐진다.

렘 콜하스(Rem Koolhaas)는 2014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건축의 요소(Elements of Architecture)라는 주제로 15가지 건축 요소에 집중하여 전시했다. 그 중 벽난로(Fireplace)는 건축 공간에서 철저히 건축 공간 외의 설비요소로 여겨져 왔지만, 두꺼운 벽 안에 흡수되면서 건축의 일부분으로 인식할 수있다고 기록하였다. 그는 벽난로의 계보도를 그리며 그 끝에는 소형 휴대용 전자기기들로 맺었다. 오븐과 전자레인지, 토스트기, HVAC시스템, 스마트폰로 흩뿌려진 현대의 “벽난로”는, 과거의 심리적 구심력과 온기를 선사했던 당시의 고품질 기술을 그대로 전수받았다.

 

건축 역사에서 기술요소가 공간을 창조하는 사례는 드물지만, 강한 인상을 남기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촉발시키고 있다. 레이너 밴험(Reyner Banham)의 “The Environmental Bubble”(1965), “Anatomy of Dwelling”(1965)과 아키그램(Archi-gram)의 “Log-Plug”(1969) 같은 도발적 아이디어는 첨단 기술이 응축된 기계 설비만 있으면 어디서든 사람이 살아갈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비록  기술 중심적 사례들은 실현되지 않았지만, 점점 우리 현대 사회는 기술적 진보로 인해 새로운 기계, 설비들이 발명, 발전될 것이다. 건축은 냉난방 설비들을 벽과 천장 속에 흡수한 것처럼, 미래에도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일 것이다. 그리고 진짜 주객이 전도되어, 고도화된 융합 신기술이 한 공간 안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Problem Statement

본 기획안의 목표는 Default 상태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정확히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담을 Well-Serviced Environment를 제안한다. 현대 건축가의 역할은 잘 서비스된 환경을 제공하고, 고도화된 기술 시스템을 서비스 공간(Servant Space)에 내장시킨다. 아무것도 없는 공간이지만, 무엇이든 가능케 하는 공간을 제시한다. “비록 건축가가 각각의 체계를 ‘주제 subject’로 결정하기는 하지만, 한 체계가 다른 체계 위에 중첩될 때, 그 주제 즉 건축가는 지워진다.” (Quated by Bernard Tschumi, 1987, Parc de La Villette) 본 기획안은 무주(無柱)공간 위에 그리드 체계의 융합 서비스 오브제(Integrated Service Object, ISO)를 배치한다. ISO를 중심으로 한 활동과 프로그램이 생성되면 그것에 따라 Flexible Boundary가 설정된다. 세 가지의 체계가 중첩될 때, 이것을 설계한 건축가는 사라지고 사용자와 사용자의 활동만 남게 될 것이다.

 

0. Current Building Condition

a.  Core System Plan: 현재 가장 효율적인 건물로 일컬어지는 보편적인 초고층 빌딩의 평면은 중심에 코어시스템(엘리베이터, 계단실, 설비시설 등)을 갖고 있다.

b. Fixed Inner Wall and Fixed Activity: 각 실은 코어시스템을 제외한 공간에 고정적인 내벽으로 구분지어진다. 각 실의 설비시스템은 공간의 벽과 천장에 면해있다. 이에 따라 한 공간에서 사람의 행동반경은 벽으로부터 시작할 수 밖에 없다.

 

c. Monotony Floor Height(Section Plan): 각 층은 특별한 프로그램으로 미리 계획되지 않는 한 획일적으로 동일한 층고를 갖는다. 이러한 초기의 제한된 물리적 설계는 한 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한 공간에 실현해 내기 어렵게 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a                           b                            c

 

1. Proposal One: Column-Free Space

d. Column-Free Plan: 한 평면 안에 물리적인 제약이 없도록 무주(無柱)공간을 제안한다. 철저히 사용자 중심의 공간이 가능하다. 기존의 두꺼운 코어시스템은 사라지고 외벽은 얇아져, 외부환경과의 경계를 낮춘다. 이는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e. Enough Servant Space and Truss Structure: 기존의 코어시스템은 모두 천장 속으로, 내부 공간 바깥으로 빼낸다. 천장과 바닥 공간(Servant Space)에 넉넉한 공간을 두어 설비시스템과 무주공간을 구현해 낼 트러스 구조를 수용한다. 천장과 바닥에 보이지 않는 그리드 시스템에 내장한다.

 

f. Varied Floor Height(Section Plan): 보통 오피스 건물의 층고가 2.5m, 천장 속 공간이 1m로 기준 잡혀 있었다면, 본 안은 건축물의 층고를 층마다 다양성을 부여하고 천장 속 공간(Servant Space)은 3-3.5m로 예상한다.

d                           e                              f

2. Proposal Two: Integrated Service Object

아무것도 없는 공간이지만 무엇이든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현대 사회의 기술이다천장의 Servant Space에 그리드 시스템에 따라 사용자의 원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융합 서비스 오브젝트(Integrated Service Object)가 심겨져 있다. ISO는 전기냉난방냉온급수인터넷라디오 전파키오스크 등 현 시대의 고도화된 기술의 응집체이다이것의 형태는 지름 50cm의 원기둥으로천장에서 내려와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그리드 체계의 각 포인트마다 ISO가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그리드 체계의 각 포인트마다 ISO가 심겨져 있지만 1개를 사용하든, 2개를 사용하든아니면 아예 사용하지 않든그것은 철저히 사용자의 선택에 달려있다.

Potential Solution

3. Proposal Three: Activity Centered on ISO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ISO를 작동시킨다. ISO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활동이 생성된다때마다 한 평면에서 일어나는 프로그램의 성격과 규모가짓수는 천차만별이다사용자가 사용하기 나름이다.

4. Proposal Four: Flexible Boundary of Activity

사용자의 활동과 프로그램에 따라 자연스럽게 경계가 생긴다간이벽은 생성된 경계에 따라 천장 속의 Servant Space에서 제공된다. Flexible Wall은 구조체가 아니며얇고벽의 부분마다 다른 재료로 변환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투명반투명불투명 재질 등으로 치환시킬 수 있다.

 Conclusion: Well-Serviced Environment

고대 로마 건축역사학자 비트루비우스는 그의 저서건축십서에서 주거의 기원은 불(Fire)이라고 저술했다우연히 생긴 불로 인하여 사람은 따뜻함을 느끼고 불의 기능을 깨달으면서오두막의 중심에 두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하며 건축이 발전했다고 서술한다현대 사회에서의 불은 고도화된 기술이다미래의 건축은 고도화된 기술을 중심으로 사람의 활동이 일어나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잘 서비스된 환경(Well-Serviced Environment)을 가지게 될 것이다.